음악 교육 아카이브
[엔지니어]
마스터링을 바꾸는 라우드니스 미터링 핵심 정리.
0
본문
믹스와 마스터의 최종 판단은 귀가 하시지만, 기준을 잡아 주는 것은 미터입니다.
LUFS와 RMS, True Peak의 차이를 이해하면 플랫폼 노멀라이제이션에서도 결과가 흔들리지 않습니다. 오늘은 측정 항목의 의미를 정리하고 세션 어디에 미터를 둘지까지 간단히 정돈하겠습니다.
학습 포인트:
-
LUFS의 K‑weighting 개념을 이해하고 Integrated, Short‑term, Momentary의 쓰임을 구분합니다.
-
True Peak와 샘플 피크의 차이를 구분하고, 오버샘플링 클리핑 검출의 필요성을 점검합니다.
-
마스터 버스 마지막 단계에 미터를 두고 리미터 앞뒤로 레벨을 비교하는 루틴을 익힙니다.
-
레퍼런스 트랙을 트림으로 정렬한 뒤 톤과 다이내믹을 귀로 매칭하는 절차를 연습합니다.
-
노멀라이제이션 환경에서 지나친 래우드니스 추격을 피하고 곡의 다이내믹 목표를 먼저 정합니다.
-
버스 처리 단계별 게인 스테이징을 점검하고, 버스 합류 지점에서 헤드룸을 확보합니다.
-
모니터 볼륨 기준을 고정하고 하루 한 번 1분 루틴으로 미터 읽기와 귀 확인을 함께 수행합니다.
Level 7


댓글 0
댓글 포인트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