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 교육 아카이브
[엔지니어]
오디오 믹싱 콘솔의 구조
0
본문
무대 음향 현장에서 사용하는 오디오 믹싱 콘솔의 신호 흐름 구조를 단계별로 정리해 주는 강의입니다.
2024년 커리큘럼으로 공개된 시리즈 중 하나로, 아날로그/디지털 콘솔에 공통되는 핵심 개념을 중급자 관점에서 설명합니다.
같은 시리즈의 4-1(콘솔의 분류), 4-2-2(채널 입력단) 영상도 함께 제공되어 체계적으로 복습하기 좋습니다. YouTube+2YouTube+2
학습 포인트:
-
신호 흐름 따라가기: 입력(마이크/라인) → 프리앰프/HPF → 인서트 → EQ/다이내믹 → 페이더 → 버스/마스터까지의 경로를 한눈에 정리합니다.
-
채널 스트립 해부: 프리/포스트 페이더 개념, HPF 사용 위치와 목적, 인서트/리턴의 실제 적용 지점을 익힙니다.
-
Aux & FX 버스 설계: 모니터용 프리-페더 Aux와 이펙트용 포스트-페더 Aux의 차이, 보컬/드럼 등의 실전 라우팅 예시를 학습합니다.
-
그룹/서브믹스 운용: 오디오 그룹과 VCA/DCA의 차이, 언제 그룹을 합치고 언제 컨트롤 그룹만 사용할지 판단 기준을 정리합니다.
-
마스터·매트릭스 구조: L/R, Mono/Sub, Matrix 출력의 역할과 지연보정(Delay), 구역별 음압/톤 보정 방법을 이해합니다.
-
PFL/AFL·미터링: PFL/AFL 모니터링 차이와 게인 조정 절차, 정확한 레벨링을 위한 미터 읽는 법을 익힙니다.
-
게인 스테이징 원칙: 헤드룸 확보, 노이즈/클리핑 방지, 디지털 콘솔 기준 레퍼런스(-18 dBFS ≈ 0 VU) 개념을 실전에 맞게 적용합니다.
-
입·출력 패칭 개요: 스테이지박스/로컬 I/O의 패치 매핑 기본, 외부 장비(프로세서·레코더) 연결 시 주의점 점검 리스트를 만듭니다.
-
트러블슈팅 루틴: 라우팅 오류나 피드백 루프가 발생했을 때의 체크 순서(입력→버스→매트릭스→파워앰프/스피커)를 습관화합니다.


댓글 0
댓글 포인트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