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 교육 아카이브
[작편곡&작사]
좋은 노래를 망치는 뜻밖의 적: 작곡에서 똑똑함보다 중요한 것
2

본문
"좋은 노래를 망치는 뜻밖의 적" – 똑똑함이 항상 음악을 살리는 것은 아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작곡하시는 분들께 정말 유용한 영상을 하나 소개해드리려고 해요.
📺 12tone이 전하는 충격적인 진실
이론 분석으로 유명한 유튜브 채널 12tone의 영상 **"The Surprising Enemy Of Good Songwriting"**을 보고 깜짝 놀랐어요. 수년간의 경험을 토대로 "좋은 노래를 해치는 가장 큰 적"이 무엇인지 이야기하는데, 답이 정말 의외더라고요.
바로 너무 똑똑하려는 욕심이었습니다.
멜로디를 어렵게 꾸미고 화성을 복잡하게 변형하는 것이 반드시 음악을 향상시키는 건 아니라는 거예요. 오히려 듣는 이가 놓치지 않게끔 주제와 구조를 명확하게 만드는 것이 훨씬 중요하다고 하네요.
🎯 핵심 팁 4가지
1. 구조의 뼈대 세우기
인기 음악의 기본 구조는 도입부 → 벌스(Verse) → 프리코러스 → 코러스 → 브리지 → 코러스 순서로 진행돼요. 현대 팝 음악에서 가장 흔한 형식이죠.
영상에서는 이 기본 틀을 염두에 두고, 벌스에서는 이야기를 전개하고 코러스에서는 한 줄의 후렴구를 반복해 청자가 따라 부를 수 있도록 만들라고 조언합니다.
2. 코러스와 벌스의 대비
벌스와 코러스는 멜로디, 리듬, 화성에서 뚜렷한 대비를 이룰 때 가장 효과적이에요. 벌스에서 잔잔하게 서사를 쌓다가 코러스에서 음역을 높이고 리듬을 단순하게 만들어 후렴이 자연스럽게 터지도록 설계하는 거죠.
3. 반복과 변형의 균형
훅(Hook)이나 리듬 패턴을 반복하면 청자가 노래를 쉽게 기억할 수 있어요. 하지만 완전히 반복만 하면 지루해지니까, 기존 패턴에 음정을 조금씩 바꾸거나 박자를 엇갈리게 배치하는 등 미묘한 변형을 주는 게 중요해요.
4. 과도한 기교 피하기
화려한 코드 진행이나 기술적인 리프를 끊임없이 사용하면 오히려 메시지가 흐려질 수 있어요. "멋져 보이려는 욕심이 청자의 공감대를 깨뜨리기도 한다"는 말이 정말 인상적이었어요.
🎼 벌스-코러스 형식의 역사
현대 대중음악의 기본 틀로 자리 잡은 '벌스–코러스 형식'은 1840년대부터 사용되기 시작해 1960년대 록 음악에서 널리 퍼졌다고 해요.
이 형식에서는:
- 벌스: 이야기의 전개를 담당 (반복될 때마다 가사가 바뀜)
- 코러스: 후렴을 반복해 청자의 기억에 남도록 함 (동일한 멜로디와 가사 유지)
이런 반복 구조가 청자가 음악적 테마를 인지하고 따라 부르기 쉽게 만들기 때문에 오늘날 대부분의 히트곡에서 사용되고 있어요.
✨ 마무리하며
이 영상은 중급 이상의 작곡가나 싱어송라이터가 한 단계 도약하기 위해 정말 유용한 조언을 제공하는 것 같아요.
곡을 만들 때는 화려한 기교보다 명확한 구조와 적절한 반복, 벌스와 코러스의 대비, 간결한 메시지가 더 중요하다는 사실을 새삼 깨달았네요.
과도한 '똑똑함'에서 벗어나서, 듣는 이들과 진짜 공감할 수 있는 따뜻한 노래를 만드는 게 결국 가장 중요한 것 같아요.
여러분도 이런 경험 있으신가요? 너무 복잡하게 만들다가 오히려 곡이 망가진 적 말이에요.

댓글 2
ㅇㅇ님의 댓글
익명의 텐린이님의 댓글
댓글 포인트 안내